Currency = KRW(₩)
[작품소개] ① <로이 풀러: 리서치>
잊힌 춤의 숨결이 몸과 오브제를 타고 무대 위로 다시 피어나다
<로이풀러: 리서치(Loie Fuller: Research)>는 20세기 초 미국 무용가 '로이 풀러(Loie Fuller)'의 대표작 ‘서펜타인 댄스(Serpentine Dance)’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로이 풀러'는 긴 실크 천과 대나무 막대를 활용해 불꽃이나 파도처럼 자연의 움직임을 무대 위에 구현하며, 몸과 사물, 조명, 기계 장치를 결합한 혁신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특수 효과와 무용을 접목한 그녀의 실험은 현대 무용의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전설처럼 회자되어 왔다.
올라 마시에예프스카는 이 전설적인 춤을 물리적 실험과 조형적 움직임으로 다시 호출한다. <로이풀러: 리서치>는 두 가지 연습 형태로 구성된다. 이 작업은 조각가(인간)와 조각(비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춤추는 드레스(Dancing Dress)’라 불리는 오브제를 통해 움직임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물질적 행위성과 사물의 자율성을 실험하며,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려는 데 그치지 않고, 신체와 오브제가 만나 끊임없이 생성하는 형태와 움직임을 시각화한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물질과 비물질,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이 작업은 ‘보여진다는 것’의 의미를 섬세하게 되묻는다. '올라 마치에예프스카'는 '로이 풀러'라는 아이콘이 지닌 신화성과 모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희미해진 유산과 직면하며, 몸으로 춤을 기록하는 방식을 통해 안무의 역사, 그 전승과 해방에 대해 독창적인 시선을 제시한다.
<로이풀러: 리서치>는 신체, 오브제, 그리고 시간의 흐름이 만들어내는 상호작용 속에서 춤이라는 행위를 시각적이고 조형적인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도록 관객을 초대하는 작품이다.
[안무소개] 올라 마시에예프스카
무용가 겸 안무가인 올라 마시에예프스카(Ola Maciejewska)는 치밀한 연구와 엄격한 구조 속에서 무용과 여러 예술 영역을 유연하게 잇는 작업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세계를 펼쳐왔다.
무용과 시각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과거 무용사를 비판적 시선으로 재해석하는 그녀는 2013년부터 1890년대 로이 풀러(Loie Fuller)가 창조한 서펜타인 댄스(Serpentine Dance)를 새롭게 되살려 자신만의 안무로 재탄생시켰다. 대표작 <로이 풀러: 리서치(Loie Fuller: Research)>와 <봄빅스 모리(Bombyx Mori)>는 변형과 공감각, 그리고 형상화가 어우러진 감각의 교차점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프랑스 노르망디(Normandy)의 '캉 국립안무센터(Centre Chorégraphique National de Caen)'에서 협력 아티스트로 활약했고, 2020년에는 '피나 바우쉬 재단(Pina Bausch Foundation)'의 아카이브에서 무대미술가 '롤프 보르지크(Rolf Borzik)'의 작업을 깊이 탐구했다. 이어 2022년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이 세운 '워터밀 센터(Watermill Center)'에서 펠로우십을 수여받으며 창작의 영역을 넓혔다. 또한, '제네바 헤드 예술디자인학교(HEAD School of Art and Design)', '리모주 국립미술대학(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Limoges)', '프랑스 국립무용센터(Centre National de la Danse)' 등에서 자신의 연구를 나누고 예술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힘쓰고 있다.
[제작진]
안무 올라 마시에예프스카
무용 구성 디자인 욜란타 마치에프스카
해석 장 레스카
프로덕션 및 유통 니콜라 쇼시
행정 카롤린 레디
프로덕션 《우리는 춤을 출 수도 있잖아(So We Might As Well Dance)》 – 올라 마시에예프스카
커미션 텐트 로테르담(TENT Rotterdam, 네덜란드)
후원 제이벨트 극장(ZEEBELT THEATRE, 네덜란드)
특별 감사 유디트 쇼네펠트
[작품소개] ②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
몸으로 다시 쓰는 춤, 시간의 두께 위에서 사라져가는 전통의 숨결을 새겨 넣다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Save the Last Dance for Me)>는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Alessandro Sciarroni)'가 이탈리아 볼로냐 지역의 오래된 구애 춤, ‘폴카 키나타(Polka Chinata)’를 다시 불러내기 위해 탄생시킨 작품이다. '폴카 키나타'는 20세기 초 오로지 남성들만이 추던 춤으로, 두 사람이 서로를 꼭 껴안은 채 무릎이 거의 땅에 닿을 만큼 깊이 굽히고 함께 회전하는 모습이 곡예를 연상시키는 역동성과 긴장감을 자아낸다.
2018년, 시아르로니는 이 춤이 이탈리아 전역에서 단 다섯 명의 무용수만이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소멸 위기에 놓인 이 전통에 다시금 빛을 더하고자 보존과 확산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번 작업은 1960년대 기록 영상을 바탕으로 폴카 키나타를 부활시킨 무용 마스터 지안카를로 스타니(Giancarlo Stagni)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완성되었다. 전통이라는 시간의 두께를 예술적 언어로 풀어내,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유산을 오늘날의 신체로 되살리려는 진심 어린 열망이 담겨 있다.
그 결실로 탄생한 이번 공연은 잔마리아 보르질로(Gianmaria Borzillo)와 조반프란체스코 잔니니(Giovanfrancesco Giannini)가 한 몸처럼 호흡하며, 관객들에게 전통의 숨결을 생생하게 전한다.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는 묻는다. “이 춤을 어떻게 다음 세대에 전할 것인가?” 이 간절한 물음은 단순한 질문을 넘어, 문화의 숨결을 잇는 한 줄기 생명처럼 우리의 마음 깊이 잔잔히 스며든다.
[안무소개]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
알렉산드로 시아르로니(Alessandro Sciarroni)는 2007년부터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순수미술을 전공한 그는 현장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무용뿐 아니라 스포츠와 서커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기법과 양식을 적극적으로 작품에 녹여낸다. 그의 작업은 반복되는 동작으로 무용수의 신체적 한계를 극한까지 밀어붙이며, 그 과정에서 공연에 깃든 강박과 두려움, 그리고 인간의 연약함을 오롯이 드러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새로운 시간의 차원을 창조하고, 무용수와 관객 사이에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하고자 한다.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는 다양한 국제 예술 프로젝트와 네트워크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세계 유수 무대에 꾸준히 초청되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2019년 베니스 댄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 Danza)에서 무용 부문 평생 공로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파리의 샹카트르(CENTQUATRE PARIS)와 밀라노 트리엔날레 극장(Triennale Milano Teatro 2022-2024)에서 협력 아티스트로 활동했다.
[제작진]
기획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
출연 잔마리아 보르질로, 조반프란체스코 지안니니
예술 협업 잔카를로 스타니
음악 아우로라 바우사, 페레 조우 (텔레만 레코딩)
스타일링 에토레 롬바르디
기술 감독 발레리아 포티
투어 기술 담당 코시모 마지니
기획·홍보·컨설팅 리사 질라르디노
행정 및 총괄 제작 키아라 파바
커뮤니케이션 피에르파올로 페를라이노
초연 2019년 산타르칸젤로 페스티벌, 이탈리아
제작 마르케 테아트로 (이탈리아 문화적 중요 극장)
공동 제작 산타르칸젤로 페스티벌 / 비모션 / 우르바나 댄스 페스티벌 (이상 이탈리아)
[협력기관 소개]
반클리프 아펠과 무용 예술의 끈끈한 유대 관계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관계는, 2020년 현대 무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인 반클리프 아펠의 댄스 리플렉션이 탄생하면서 더욱 견고해 졌습니다. 전 세계 파트너들과의 협력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안무의 유산을 지원하고, 현대 창작을 육성하며 이러한 예술적 세계를 최대한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종의 헌신을 반영합니다.
반클리프 아펠의 댄스 리플렉션과 서울국제공연예술제가 무용 축제를 선보입니다.
2025년 10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글로벌 무용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20년 출범 이후 댄스 리플렉션을 이끌어 온 창작, 전승, 교육이라는 가치를 반영한 이번 페스티벌은 현대 무용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과 최근 작품들을 함께 선보입니다. 이외에도 전문 및 아마추어 무용가 모두를 위한 워크샵과 마스터클래스의 기회도 제공합니다.
[작품소개] ① <로이 풀러: 리서치>
잊힌 춤의 숨결이 몸과 오브제를 타고 무대 위로 다시 피어나다
<로이풀러: 리서치(Loie Fuller: Research)>는 20세기 초 미국 무용가 '로이 풀러(Loie Fuller)'의 대표작 ‘서펜타인 댄스(Serpentine Dance)’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로이 풀러'는 긴 실크 천과 대나무 막대를 활용해 불꽃이나 파도처럼 자연의 움직임을 무대 위에 구현하며, 몸과 사물, 조명, 기계 장치를 결합한 혁신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특수 효과와 무용을 접목한 그녀의 실험은 현대 무용의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전설처럼 회자되어 왔다.
올라 마시에예프스카는 이 전설적인 춤을 물리적 실험과 조형적 움직임으로 다시 호출한다. <로이풀러: 리서치>는 두 가지 연습 형태로 구성된다. 이 작업은 조각가(인간)와 조각(비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춤추는 드레스(Dancing Dress)’라 불리는 오브제를 통해 움직임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물질적 행위성과 사물의 자율성을 실험하며,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려는 데 그치지 않고, 신체와 오브제가 만나 끊임없이 생성하는 형태와 움직임을 시각화한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물질과 비물질,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이 작업은 ‘보여진다는 것’의 의미를 섬세하게 되묻는다. '올라 마치에예프스카'는 '로이 풀러'라는 아이콘이 지닌 신화성과 모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며 희미해진 유산과 직면하며, 몸으로 춤을 기록하는 방식을 통해 안무의 역사, 그 전승과 해방에 대해 독창적인 시선을 제시한다.
<로이풀러: 리서치>는 신체, 오브제, 그리고 시간의 흐름이 만들어내는 상호작용 속에서 춤이라는 행위를 시각적이고 조형적인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도록 관객을 초대하는 작품이다.
[안무소개] 올라 마시에예프스카
무용가 겸 안무가인 올라 마시에예프스카(Ola Maciejewska)는 치밀한 연구와 엄격한 구조 속에서 무용과 여러 예술 영역을 유연하게 잇는 작업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세계를 펼쳐왔다.
무용과 시각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과거 무용사를 비판적 시선으로 재해석하는 그녀는 2013년부터 1890년대 로이 풀러(Loie Fuller)가 창조한 서펜타인 댄스(Serpentine Dance)를 새롭게 되살려 자신만의 안무로 재탄생시켰다. 대표작 <로이 풀러: 리서치(Loie Fuller: Research)>와 <봄빅스 모리(Bombyx Mori)>는 변형과 공감각, 그리고 형상화가 어우러진 감각의 교차점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프랑스 노르망디(Normandy)의 '캉 국립안무센터(Centre Chorégraphique National de Caen)'에서 협력 아티스트로 활약했고, 2020년에는 '피나 바우쉬 재단(Pina Bausch Foundation)'의 아카이브에서 무대미술가 '롤프 보르지크(Rolf Borzik)'의 작업을 깊이 탐구했다. 이어 2022년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이 세운 '워터밀 센터(Watermill Center)'에서 펠로우십을 수여받으며 창작의 영역을 넓혔다. 또한, '제네바 헤드 예술디자인학교(HEAD School of Art and Design)', '리모주 국립미술대학(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Limoges)', '프랑스 국립무용센터(Centre National de la Danse)' 등에서 자신의 연구를 나누고 예술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힘쓰고 있다.
[제작진]
안무 올라 마시에예프스카
무용 구성 디자인 욜란타 마치에프스카
해석 장 레스카
프로덕션 및 유통 니콜라 쇼시
행정 카롤린 레디
프로덕션 《우리는 춤을 출 수도 있잖아(So We Might As Well Dance)》 – 올라 마시에예프스카
커미션 텐트 로테르담(TENT Rotterdam, 네덜란드)
후원 제이벨트 극장(ZEEBELT THEATRE, 네덜란드)
특별 감사 유디트 쇼네펠트
[작품소개] ②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
몸으로 다시 쓰는 춤, 시간의 두께 위에서 사라져가는 전통의 숨결을 새겨 넣다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Save the Last Dance for Me)>는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Alessandro Sciarroni)'가 이탈리아 볼로냐 지역의 오래된 구애 춤, ‘폴카 키나타(Polka Chinata)’를 다시 불러내기 위해 탄생시킨 작품이다. '폴카 키나타'는 20세기 초 오로지 남성들만이 추던 춤으로, 두 사람이 서로를 꼭 껴안은 채 무릎이 거의 땅에 닿을 만큼 깊이 굽히고 함께 회전하는 모습이 곡예를 연상시키는 역동성과 긴장감을 자아낸다.
2018년, 시아르로니는 이 춤이 이탈리아 전역에서 단 다섯 명의 무용수만이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소멸 위기에 놓인 이 전통에 다시금 빛을 더하고자 보존과 확산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번 작업은 1960년대 기록 영상을 바탕으로 폴카 키나타를 부활시킨 무용 마스터 지안카를로 스타니(Giancarlo Stagni)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완성되었다. 전통이라는 시간의 두께를 예술적 언어로 풀어내,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유산을 오늘날의 신체로 되살리려는 진심 어린 열망이 담겨 있다.
그 결실로 탄생한 이번 공연은 잔마리아 보르질로(Gianmaria Borzillo)와 조반프란체스코 잔니니(Giovanfrancesco Giannini)가 한 몸처럼 호흡하며, 관객들에게 전통의 숨결을 생생하게 전한다.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는 묻는다. “이 춤을 어떻게 다음 세대에 전할 것인가?” 이 간절한 물음은 단순한 질문을 넘어, 문화의 숨결을 잇는 한 줄기 생명처럼 우리의 마음 깊이 잔잔히 스며든다.
[안무소개]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
알렉산드로 시아르로니(Alessandro Sciarroni)는 2007년부터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순수미술을 전공한 그는 현장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무용뿐 아니라 스포츠와 서커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기법과 양식을 적극적으로 작품에 녹여낸다. 그의 작업은 반복되는 동작으로 무용수의 신체적 한계를 극한까지 밀어붙이며, 그 과정에서 공연에 깃든 강박과 두려움, 그리고 인간의 연약함을 오롯이 드러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새로운 시간의 차원을 창조하고, 무용수와 관객 사이에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하고자 한다.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는 다양한 국제 예술 프로젝트와 네트워크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세계 유수 무대에 꾸준히 초청되어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2019년 베니스 댄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 Danza)에서 무용 부문 평생 공로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파리의 샹카트르(CENTQUATRE PARIS)와 밀라노 트리엔날레 극장(Triennale Milano Teatro 2022-2024)에서 협력 아티스트로 활동했다.
[제작진]
기획 알레산드로 시아르로니
출연 잔마리아 보르질로, 조반프란체스코 지안니니
예술 협업 잔카를로 스타니
음악 아우로라 바우사, 페레 조우 (텔레만 레코딩)
스타일링 에토레 롬바르디
기술 감독 발레리아 포티
투어 기술 담당 코시모 마지니
기획·홍보·컨설팅 리사 질라르디노
행정 및 총괄 제작 키아라 파바
커뮤니케이션 피에르파올로 페를라이노
초연 2019년 산타르칸젤로 페스티벌, 이탈리아
제작 마르케 테아트로 (이탈리아 문화적 중요 극장)
공동 제작 산타르칸젤로 페스티벌 / 비모션 / 우르바나 댄스 페스티벌 (이상 이탈리아)
[협력기관 소개]
반클리프 아펠과 무용 예술의 끈끈한 유대 관계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관계는, 2020년 현대 무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인 반클리프 아펠의 댄스 리플렉션이 탄생하면서 더욱 견고해 졌습니다. 전 세계 파트너들과의 협력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안무의 유산을 지원하고, 현대 창작을 육성하며 이러한 예술적 세계를 최대한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종의 헌신을 반영합니다.
반클리프 아펠의 댄스 리플렉션과 서울국제공연예술제가 무용 축제를 선보입니다.
2025년 10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글로벌 무용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20년 출범 이후 댄스 리플렉션을 이끌어 온 창작, 전승, 교육이라는 가치를 반영한 이번 페스티벌은 현대 무용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과 최근 작품들을 함께 선보입니다. 이외에도 전문 및 아마추어 무용가 모두를 위한 워크샵과 마스터클래스의 기회도 제공합니다.
Currency = KRW(₩)